위기를 극복한 기업 2편] 할리데이비슨 / 기업의 철학을 공유한 ‘마니아’ 고객과 함께 위기의 강을 건너다 | |
1981년 위기 극복의 기반을 마련한 할리데이비슨은 이후 ‘품질 경영'을 강조하는 한편 고객을 할리데이비슨 ‘마니아'로 만들어 버렸다. 이들은 할리데이비슨의 브랜드 강화는 물론 열정적인 활동으로 회사를 살리는 데 결정적 역할을 했다.
결국 고객이 회사를 다시 살렸고, 회사는 다시 고객 한 사람 한 사람을 중시하는 기업 문화를 가꿔 가고 있다. 최근 영화배우 독고영재 씨를 인터뷰한 적이 있다. 환갑을 바라보는 나이, 그는 여전히 열혈청년이었다. 독고영재 씨를 더욱 열정적으로 보이게 만든 건 바로 남성미가 넘치는 오토바이, 할리데이비슨(Harley-Davidson)이었다. 청재킷, 청바지에 부츠를 신고 할리데이비슨에 올라선 독고영재 씨는 성공한 인생을 상징하는 것 같았다. ![]() 105년 전통의 할리데이비슨은 창업자의 이름을 딴 브랜드다. 1903년 미국 위스콘신주 밀워키에서 한 동네 사는 21살 윌리엄 할리(William Harley)와 20살 아더 데이비슨(Arthur Davidson)이 ‘할리데이비슨 모터컴퍼니'를 창립했다. 일반적으로 1939년에 휴렛과 팩커드가 캘리포니아의 한 허름한 창고에서 시작한 HP를 벤처의 효시로 보곤 하지만, 할리데이비슨은 이보다도 36년 앞서 창업을 시도한 진정한 벤처기업이었던 셈이다. 너무 일찍 오토바이 시장을 개척한 탓일까? 시장은 크게 형성되지 않았고 초창기에는 그저 조그만 무명 기업에 지나지 않았다. 그러던 할리데이비슨에게도 기회가 찾아왔다. 1차 대전과 2차 대전에 전쟁용으로 할리데이비슨 모터사이클이 동원돼 유명세를 타기 시작했다. 1969년 만들어진 영화 ‘이지 라이더'는 할리데이비슨을 일약 스타로 만들었다. 이때 이후로 할리데이비슨의 ‘이단아'적 이미지가 미국 문화를 상징하는 대표 코드로 자리잡았다. 그러나 1981년, 13명의 임원이 회사를 다시 매입하면서 위기 극복의 기반을 마련했다. 그 첫 번째 위기 극복책은 품질 경영이었다. ‘할리데이비슨은 품질 관리에 목숨을 건다'는 말까지 나올 만큼 첫째도 둘째도, 셋째도 품질을 강조한다.
최고 경영자(CEO)였던 리처드 티어링크는 ‘기본에 충실하자'에서 한발 더 나아가 ‘품질 중심'으로 회사를 바꿨다. ‘자유'의 상징인 할리데이비슨이지만 미주리 캔자스시티 공장 분위기는 엄격한 규정이 적용된다고 한다. 페인트칠 하나에도 소홀하지 않음은 물론 로봇 공정을 거친 뒤에도 전문 엔지니어가 일일이 품질을 확인한다. 조립이 끝난 오토바이는 100대당 1대꼴로 전문 엔지니어가 40km를 타거나 분해해 이상 유무를 점검한다. ![]() 두 번째 비결은 고객을 할리데이비슨 마니아(Mania)로 만들어 버렸다는 점이다. 한국에서도 가끔 볼 수 있지만 미국에서는 수십 명이 할리데이비슨을 타고 열을 지어 점잖게 오토바이를 즐기는 모습을 자주 목격할 수 있다.
할리데이비슨은 인간의 본성과 감성에 충실을 다한다. 변하지 않는 할리데이비슨의 거친 사운드는 인간의 본성에 가까운 ‘환호의 음성'이며 승차감 역시 안락함보다는 꾸밈없는 ‘자연의 본성'을 추구한다. 실제로 할리데이비슨의 믿음은 ‘유행은 100년이 지나도록 지속되지 않는다'는 것. 유행을 쫓지 말고 인간 문화의 전통을 따르는 가장 자연적인 제품을 만들 때 고객들 스스로 다가온다는 생각이다. 빠르게 흘러가는 세월 속에 몸을 맡긴 채 컴퓨터 앞에 앉아 있는 현대인들에게 할리데이비슨은 한번쯤 쉬어 가라는 메시지를 던지고 있다. - 명순영 / 매경이코노미 기자 |
'품질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지털 시대 전략은 스토리텔링으로 (0) | 2008.09.25 |
---|---|
여러분이 회사의 운명을 바꿀 수 있다, CEO처럼 기획한다면! (0) | 2008.09.25 |
스티브 잡스의 프레젠테이션이 특별한 7가지 이유 (0) | 2008.09.25 |
채택되어 세상 속으로 나가든지, 휴지통 속으로 사라지든지 (0) | 2008.09.25 |
만인을 사로잡은 세기의 명연설가 Abraham Lincoln 대통령 (0) | 2008.09.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