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행에 집중하라
본도서는 삼성경제 연구소에서 선정한 2004년 하계휴가 중 CEO가 읽은 책 20선 中 TOP 2위에 오른 도서이다. 전문적인 그리고 수필형식의 도서는 CEO들에게 지적수준이 기업의 지적 역량을 결정하는 중요한 도구로서 실행되어 온 것이 사실이며, 특히 환경변화가 빨라지고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는 현실적 기업경영에 대처하기 위해서 기업 스스로의 지적 역량을 높여야 하는 과제는 리더의(CEO)의 지식경영과도 맞물린 중요한 경영역량으로 평가되고 있다. 본 도서에서는 리더의 역할에서 실행을 실천하는 정신적 지적요소를 강하게 주장하고 있고 이를 실행하는 방안에 대하여 실 사례를 가지고 설명하고 있다 아무튼 기업 내 리얼한 시간에서도 독서를 통해 시대를 읽는 통찰력, 경영에 도움이 되는 아이디어 그리고 삶을 살아가는 여유를 얻을 수 있는 것은 자명한 사실일 것이다
삼성경제연구소 자료에 의하면 윤종용 삼성전자 부회장은 "독서"를 제1의 취미로 꼽으며 책을 통해 경영철학을 실천하고 있다고 한다. 무엇을 시사(示唆) 하는가? 독서도 독서로 끝나면 의미가 없다는 것이다 리더는 생산적인 여가활동은 소속팀원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조직분위기를 활성화 시키는 요소이다 그럼 "실행에 집중하라 = The Discipline of Getting Things Done)"에서는 무엇을 시사(示唆) 하는가? 1) 실행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실행력을 강화하는데 초점을 두었으며 이를 이해하는 차원에서 생생한 사례들로부터 전략을 실행하는 방법을 체계적으로 습득할 수 있도록 하였음. 2) 아무리 훌륭한 전략이라도 구체적인 행동이 뒷받침 되지 않으면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없다는 평범한 진리를 논리적으로 상기 시키고 있다 즉 기업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계획보다 실행이 중요하다는 사실과 함께 실행을 위한 실천적 방법들을 제시하였으며, 기업 간 경쟁력의 격차는 비전과 전략의 차이보다는 그것을 실현하기 위해 행동하는 실행력의 차이에서 비롯된다고 지적하고 있다 그러면서 본 도서에서는 실행이란 "현실을 직시하고 그 현실에 대응하는 체계적인 접근에서 "인력, 전략, 운영 등의 3대 비즈니스 프로세스가 유기적으로 연결 되도록 하는 것이 실행의 핵심이며 리더로서 역할 및 이를 통해 조직원과 CEO와 고위경영진의 깊은 관심과 참여를 유도하여 실행력을 높이도록 유도하고 있다 그리고 높은 성과를 내는 기업들은 인력, 전략, 운영의 3대 핵심 프로세스를 긴밀하게 연결시켜 실행하고 있는 점을 직접적으로 역설 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논설하면 기업과 개인의 경쟁력에서 뒤쳐지는 가장 중요한 이유는 실행능력의 부족이며 실행력의 저하는 관리자들이 높은 수준의 전략에만 몰두한 나머지 실행과정이나 현장에 깊이 과여하지 않는 데서 비롯된다. 즉 현장경영 중심의 실천이 기업문화의 핵심이며 업무의 기본요소임을 강조한다.
" 실행에 집중하라" 이는 우수한 비전과 전략을 수립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기업 간 실행편차에 의하여 성공여부를 지적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을 체계적인 프로세스로 풀어 가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으며 결론은 기업경영의 3대 프로세스인 "인력, 전략, 운영"은 실행이 관건이며 이를 토대로 한 지식경영을 실천 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삼성경제 연구소에서 CEO에게 권한 상위 20권의 도서는 모두 특성별 분야를 체계적으로 주장하고 있어 유익한 부분이다 그리고 논고에 의하면, COE들은 독서를 하는 주된 목표로서 삶의 지혜 획득(34.8%), 시대 트렌드(Trend) 포착(32.5%), 경영아이디어 발굴(27.7%)등으로 분석하고 있다. 이는 현장의 리더의 경우와도 별반 차이가 없음으로 독서를 통한 지적 역량을 모아 현장에 적용 실행하는 방안을 찾아가는 것도 하나의 tool이 될 수 있을 것이다.
2004.10.1
'에세이 만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추억의 라면 (0) | 2021.03.23 |
---|---|
정년퇴임 7주년에 읽는 편지들 (0) | 2021.03.23 |
샌디에이고 코로나도(섬) (0) | 2021.03.11 |
비상을 꿈꾸는 전인지 프로 우승을 기원하며 (0) | 2021.03.10 |
단파 빵 (0) | 2021.03.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