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홍중학교 논술반

화홍중학교 논술개발 2차 수업 내용 및 예비숙제

南塘 2009. 5. 4. 14:44

 

 개발학습 논술 2차 시간 과정 내용 및 5.16일 제출할 숙제 배포

 

논술의 핵심 조건

                   

1. 이해력

- 논제와 논점에 대한 이해 → 문제와 제시문 유의사항으로 나우어 짐

- 논제 : 논술문제의 대 주제, 논점 : 소주제 로 구분

- 서론 : 논제를 도입 한다.

  본론 : 세분화된 논점을 기술 한다.

  결론 : 논제에 대한 해답을(견해) 한다.

- 논의의 범위

  제시문은 참고 사항 일 뿐, 자신의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분석한다. (깔대기 원리)

- 논제에 대한 구체적 이해와 사실적 이해

  구체적 이해 : 주제에 대한 개념, 역사, 원인, 발전에 대한 정확한 지식

  → 추상적, 원론적 논술 작성 방지하고 구체적 이해와 예를 통해 작성

  사실적 이해 : 논의 하고자 하는 대상이 지닌 모든 것으로 구조, 성질, 요소, 기능, 역사, 반응 등

  → 체계적인 사실이해로 결과나 겉으로 드러난 것만 기술하는 것 방지

- 논술문제의 해결책

   논술에는 지시어가 없다, 무조건 비판은 좋은 논술이 아니다.

   문제를 분석하고 비판하고(구체적이해+사실적이해) 대안(해결책)을 내놓아야 한다.

- 논술의 주의사항

   논술은 문학적인 글이 아니다

   논술은 지시된 주의사항을 반드시 준수해야 한다.

   “논술 제목을 쓰시오”, 띄어쓰기 포함하여 1600±200자, 예시문속에

   문장을 그대로 쓰지 말 것, 제한시간 120분 등

 

2. 문장력

   논술에 있어서 훌륭한 문장이 되려면 감수성이나, 묘사에 의한 비유보다는 문장이 정확하고 표현이 적절

   해야 한다.

   → 정확한 문장과 표현이 논리성 확보

 

- 맞춤법과 띄어쓰기를 정확하게 하자

   → 단어는 띄어 쓰되, 조사는 앞말에 붙여 쓴다.

   예) 넘어와 너머, 갑자기와 갑자기, 핑계와 핑계, 든지와 던지, 이것밖에 없다.를 이것 밖에 없다로 쓰는

       경우 等

- 정확한 낱말을 쓰도록 한다.

   → 낱말의 뜻을 정확하게 모르고 쓰거나 임의로 해석해서 쓰면 안 됨

   예) 정신문화를 가리키자(가르치자), 흑염소를 다려드립니다(달여 드립니다)

        ‘가진과 갖은’, ‘거치다와 걷히다’, ‘짐승과 곤충’, ‘두꺼운과 두터운’,‘발달과 발전’

- 바른 문장을 쓰도록 한다.

   → 논리를 기반으로 객관적인 문장, 짧은 문장 (문장이 길어지면 논리성도 동시에 모호해 짐) 화려한 수식과

       감정 몰입은 금물

   예) A는 B이다, B는 C이다, 고로 A는 C이다 같은 명료한 형태의 자기주장

- 연결과 전환을 정확히 하자

   → 논술은 문학작품이 아님, 과거와 현재, 현재와 과거 연계고리 불명확 문학작품과 관점이 다름

   (1) 논리적 계속성과 동일성의 표현,  예) 요컨대, 요약하자면, ~이듯이, ~처럼 (목적), 그러므로, 따라서

        (결과)

   (2) 두 가지 명제 사이에 분리 표현,  예) ~어느 경우든, ~ 라 할지라도, 그러나, 반면, 빈대로 등

 

3. 구성

    논술은 의식적으로 계획된 구성을 갖추어야 좋은 글이 된다. 

    → 주관적인 충동만으로 논제를 풀어나갈 것이 아니라 냉정하게 구성, 구성에는 내적구성과 외적구성이

        있다.

 

- 외적구성 : 서론, 본론, 결론으로 나누며 그 비율은 1:3:1로 한다.

   → 서론 1단락, 본론 2~3단락. 결론 1단락 (단락은 논점에 따라 나눔)

- 내적구성 : 조직성, 체계성, 전개의 논리성

   → 서론 : 문제 확인과 문제의 제기, 본론 : 설계에 의한 주장과 타당성,  기술, 결론 : 요약과 전망이 명확해

       야 함

 

4. 논리성

    논제에 대한 다양한 논거를 가지고 자신의 주장이나 견해를 논리적으로  노증하는 글이다.

- 주장과 논거가 타당해야 한다.

   사실적 논거 : 현실적 사실과 역사적 사실, 경험, 수치적 자료

   이론적 논거 : 이미 공인된 사실, 진리성과 과학성이 증명된 원리, 정리, 법칙

   예) 아리랑 시사점 = 사랑에 대한 구속력으로 표현하는데 일부 사람들의 인식 ‘한(恨) = 아리랑’ => 발병

        난다 = 저주의 감정으로 표현

   ※ 외래어는 가능한 우리말로 바꾸려는 노력이 필요

- 논증 방식이 타당해야 한다.

  논증이란 주어진 명제가 진리라는 것을 증명하는 인간의 사유관정이다.

  → 논술이란 자기의 주장과 의견을 상대방에게 설득시키기 위하여 논증함, 논증은 논제, 논거, 논증방식으로

      구성되며 논증은 추론형식을 적용하여 실현 됨

(1) 연력추론

     일반적 법칙으로 특수한 사실을 밝혀 내는 추론방식으로 삼단논법(추론은 논제의 진리성을 충분히 논증)

     대전제 : 모든 꽃은 진다

     소전제 : 장미는 꽃이다

     결론 : 그러므로 장미는 진다

     대전제 : 모든 부실 시공 건축물은 무너진다

     소전제 : 성수대교는 부실 시공 건축물이다.

     결론 : 그러므로 성수대교는 무너진다.

(2) 귀납추론

     구체적인 사건들에서 공통점을 찾아 그것을 근거로 일반적인 법칙을 도출하는 것

     사례1 : 진달래꽃은 졌다.

     사례2 : 목련꽃도 졌다.

     사례3 : 장미꽃도 졌다.

     공통요소 : 진달래, 목련, 장미는 꽃이다

     결론 : 그러므로 모든 꽃은 진다.

     사례 1 : 상풍백화점이 무너졌다.

     사례 2 : 와우아파트도 무너졌다.

     사례 3 : 성수대교도 무너졌다.

     공통요소 : 상풍백화점, 와우아파트, 성수대교 부실 시공 건축물이다.

     결론 : 그러므로 모든 부실 시공 건축물은 무너진다.

(3) 주제가 선명하고 체계적이어야 한다.

    - 주장은 명확하고 확정적이어야 한다.

    - 논점의 동일성을 유지해야 한다.

    - 논자는 진리여야 한다.

    - 논증 발식이 추론의 규칙을 지켜야 한다.

    - 논리의 기본 법칙을 지켜야 한다.

 

5.  독창성

    - 독창성이란 사고력과 창의력을 말한다.

  (1) 사고력

       사고의 깊이를 말하고 이것을 충족 시키기 위해서 입체적 사고 필요

       문제의 전체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사고해야 주관적인 관점에서

       벗어나 객관적이고 논리적으로 생각할 수 있다.

       ‘숲은 보지 못하고 나무만 보는 잘못을 방지’

  (2) 창의력

       상식이나 배경 지식인 보편성에서 벗어나 새로운 시각과 생각으로

       새로움을 발견하는 사유과정을 말한다.

      ※ 사고력과 창의력은 반드시 차별화해야 한다.

 

 

논술 숙제 (5/16일 제출)

최근 각종 시험에서 첨단 정보기기를 이용하는 등 수험생의 부정행위가 사회적으로 큰 물의를

일으키고 있다. 이러한 문제 상황이 발생하게 된 원인을 밝히고 학교교육에서의 올바른 대책을

논술하시오.

제목은 반그시 기입하시고, 원고자 1000-1200자내로 작성하시면 됩니다

특히 받고 싶은 학점은 A+ 부터 C까지 Self check 하기기 바랍니다

 

                                                                                    2009년 5월 16일 수업자료

 

 

'화홍중학교 논술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술 잘 쓰는 방법   (0) 2009.11.21
논술작성유의점  (0) 2009.05.08
화홍중학교 3학년 논술 개발학습 1차 강의 내용  (0) 2009.04.19
논술이란 무엇인가 1교시  (0) 2009.04.18
논술작성법  (0) 2009.04.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