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내 한 번뿐인 인생, ‘히트’냐? ‘아웃’이냐? 이왕이면 멋지게 히트치자

南塘 2008. 9. 26. 16:53

新 비즈니스 스킬 5편] 내 한 번뿐인 인생, ‘히트’냐? ‘아웃’이냐? 이왕이면 멋지게 히트치자! 
 
히트는 상품이나 노래, 영화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인생에도 있다. 내 인생에도 ‘히트'의 그날이 올까? 너무 늦었다고 생각하진 말자. 히트의 세 가지 개념, H·I·T를 가슴속에 담고 성공을 향해 나아가자.

‘한번쯤' 또는 ‘오늘만'이라는 자기 합리화는 이제 그만!
현재 몸담고 있는 직장에서 일할 수 있음을 행복으로 생각하고 때를 기다리는 ‘자기 관리 능력'을 갖추자. 내 인생의 봄날을 위해, 멋진 ‘히트'를 위해….

사람들은 누구나 자신의 인생을 성공적으로 이끌어 가길 원한다. 하지만 성공은 그렇게 쉽게 다가오지 않는다. 성공을 위해 어떤 지식을 쌓아야 할지, 어떤 기술을 배워야 할지 정답을 찾기가 쉽지 않고 미래는 더더욱 예측 불가능하다. 성공을 위해서 무엇을 가장 중요하게 여겨야 할까? 그 성공 공식은 과연 무엇일까?

필자는 꼭 성공해야겠다는 일념으로 살다가 결국에는 성공한 사람과 실패한 사람을 각각 분석하는 과정에서 성공한 사람은 성공의 달란트와 적절한 타이밍 등 뭔가 남다른 포인트가 있음을 알게 됐다. 그리고 이를 ‘히트(HIT)'라는 키워드로 이름지었다.

내 인생에 히트가 있었던가? 키워드 ‘히트'는 성공을 의미한다. 히트는 상품이나 노래, 영화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인생에도 있다. 한 번쯤 돌이켜 생각해 보길 바란다. “과연 내 인생에도 히트를 친 적이 있었던가?”, “나는 나의 20대, 30대에 과연 어떤 히트를 만들어 냈는가? 학업을 마치고 사회에 나와 취업과 결혼을 하면서 얼마만큼의 히트를 쳤던가?” 어쩌면 잘 기억 나는 ‘히트의 추억'이 별로 없을 수도 있다.

그러나 실망하기는 이르다. 이제부터 스스로 히트를 만들어 내면 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히트를 만들어 갈 것인가?

열정의 발전기가 필요해 직장생활을 예로 들어 보자. 우선 ‘열정'을 회복해야 한다. 초심으로 돌아가 보는 것도 좋겠다. “직장에서 어떻게 히트를 칠까? 살아가면서 어떻게 보다 많은 히트를 기록할까”를 생각하며 마음을 다잡고 내 안에 잠재되어 있는 열정의 발전기를 가동시키자.

Heart - ‘감성경영', 사람의 마음을 캐라

여기서 히트의 의미를 살펴보자. H는 ‘Heart'를 의미한다. I는 ‘Idea'를, 그리고 T는 ‘Training'을 뜻한다.

‘H'의 ‘Heart'에 담긴 의미는 따뜻함이다. 성공하는 사람은 ‘사람'을 좋아한다는 뜻이기도 하다. 그들은 늘 배려의 마음을 갖고 살아가므로 작은 행동에서도 따뜻함이 배어 나온다. 똑똑한 사람보다는 따뜻한 사람으로 살아가자. 이런 따뜻함이 성공을 향한 초석이 됨은 물론이다.

지식보다 좋은 사람과의 만남이 운명을 바꾼다 성공하기 위해서는 지식을 익히기보다는 먼저 태도를 익혀야 한다. 누구에게나 인정받을 수 있는 태도는 신뢰로 변하게 되며, 이 신뢰가 다시 성공을 이끄는 요인이 된다.

예를 들면 사람을 만날 때는 항상 반갑게 맞이하고 상대를 부를 때는 그 사람이 듣고 싶어 하는 호칭으로 불러 준다면 매력적인 사람으로 기억될 것이다. 좋은 사람만이 좋은 사람을 만날 수 있다. 성공적인 사회생활은 인간 관계가 결정한다. 좋은 사람과의 만남은 나의 운명을 바꿔 놓을 수 있기 때문이다.

Idea - 미래는 창의와 문화가 지배하는 시대

다음 ‘Idea'의 ‘I'에 관하여 생각해 보자. 머리 좋은 수재 한 사람이 수만 명을 먹여 살린다는 이야기를 들어 보았을 것이다. 좋은 아이디어와 명석함은 타고나는 것이 아니고 만들어 가는 것이다. 평범한 사람일지라도 얼마든지 좋은 아이디어를 만들어 낼 수 있다. 아이디어는 스스로 창조성과 확장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하나의 아이디어가 다섯 개, 열 개의 새로운 아이디어로 재탄생될 수 있다.

무엇이든지 바꿔 보고, 쪼개 보고, 나눠 보고, 더해 보자. 색깔과 모양을 달리 생각해 보자. 앞과 뒤, 겉과 속을 함께 보려고 노력하자.

비싸더라도 팔리는 아이디어를 내자 여러분이 취급하는 전문적 아이템에 관하여 박리다매(薄利多賣)와 후리소매(厚利小賣)의 개념을 권하고 싶다. 박리다매란 고급 제품을 대중화하여 싸게 많이 팔자는 것이고, 값이 싼 대중적 물건도 고급 제품으로 만들어 적게 팔리더라도 이윤을 많이 보자는 것이 후리소매이다. 그러나 이왕이면 비싼 가격에 많이 팔리면 더 좋다. 값이 비싸더라도 원하는 사람은 사게 마련이다. 즉, 어떻게 팔리는 아이디어를 만드는가가 관건이다.

Training - 트레이닝이 승부수

다음은 ‘Training'의 ‘T'. 노력, 훈련, 실천, 연습, 인내…. 성공한 모든 사람들의 공통점이다. 그저 바람이 부는 대로 어영부영하면서 성공을 이루어 낸 사람은 없다. 그들은 다른 사람보다 몇 배 더 노력하면서 자신의 성공을 만들어 간 사람들이다.

최후에 선택받는 사람이 되려면 노력이 기본! 올림픽 금메달을 누구나 딸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그들은 보이지 않는 고통과 수많은 좌절을 이겨냈기에 세계 최고가 될 수 있었다. 도전하고 패배하더라도 또다시 일어나는 ‘7전8기'의 정신이 있어야 최후에 선택받는 사람이 되는 것이다.

직장인의 성공 비결

직장생활을 하는 사람들은 모두가 한 번쯤 CEO가 되는 꿈을 꾼다. 경력과 연륜이 쌓이면 물론 승진을 하겠지만 올라갈수록 경쟁은 더욱 심화된다. 이럴 때 놓치기 쉬운 것이 사소한 것이다. 큰일이 중요한 것은 당연지사지만 작은 일을 소홀히 하면 그것에 발목을 잡히는 수가 있다.

즉, 평소에 간과하기 쉬운 것을 잘 챙기라는 뜻이다.

자기 변명을 버리자! 매사에 자신감을 갖고 직무에 충실하자. ‘한 번쯤' 또는 ‘오늘만'이라는 자기 합리화나 변명은 성공가도의 걸림돌이 될 수 있음을 잊지 말자. 현재 몸담고 있는 직장에서 일할 수 있음을 행복으로 생각하고 때를 기다리는 ‘자기 관리 능력'을 갖춰야 한다. 이런 사람이 바로 히트를 칠 수 있는 사람이다.

이 글을 읽은 모든 사람들의 ‘히트'를 기원한다.

- 허태근 / 이화여자대학교 평생교육원 교수, 성공 컨설턴트, 〈히트〉 저자